HYPER Special
Issues & Trend
HY Insight
Theme
Story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이동패턴 연구

A Study on Movement Patterns of Disabled and non-Disabled Persons

컴퓨테이셔널사회과학연구센터 주요 연구 성과 Ⅱ

Major Research Results of the Center for Computational Social Sciences Ⅱ

‘이동’은 생산적 활동의 근간이자 삶의 지표

지구에서 살아가는 누구에게나 하루는 24시간이다. 그 제한된 시간을 어떻게 활용하는가는 곧 일상을 어떻게 영위하는지, 어떤 라이프 스타일을 가졌는지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사회가 발전할수록, 삶이 풍요로울수록 보다 빠르고 멀리, 다양한 형태로 ‘이동’을 하게 된다. 이동은 타인과의 관계 형성 및 삶을 위한 생산적 활동의 근간이기 때문에 오늘날 개인의 이동 능력과 이동패턴은 삶을 영위하고 사회적 활동을 매개하는 필수 자본이 된다.

‘이동’은 모든 이에게 동일한 조건으로 주어지지 않는다. 개인이나 집단 간 차이와 불평등이 존재한다. 특히 장애인은 이동에 취약한 집단 중 하나로 꼽힌다. 현재 한국 사회에서 장애인은 ‘교통약자’로 규정되며 ‘교통약자 이동편의 증진법’, ‘장애인 차별 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 등을 통해 이동에 대한 법제적 보장을 받는 대상이다.

컴퓨테이셔널사회과학연구센터 ‘취약계층 사회문제 연구 그룹’은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이동시간 자료를 통해 두 집단 간의 이동 시간대와 이동 시간량을 분석함으로써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이동 특성을 비교 · 분석해냈다.

“Movement,” the basis of productive activity and an indicator of life

For everyone living on the planet Earth, there are 24 hours in a day. How you use that limited time indicates how you lead your daily life and what kind of lifestyle you have.

In general, the more a society develops, and the more abundant life is, the faster, the farther, and the more diversely it moves. Because mobility is the basis of productive activities for life and the formation of relationships with others, individual mobility and movement patterns are essential capital for living and mediating social activities.

‘Movement’ is not given to everyone on the same conditions. There are differences and inequalities between individuals and groups. In particular, persons with disabilities are considered one of the most vulnerable groups. Currently, in Korean society, persons with disabilities are defined as ‘mobility disadvantaged persons,’ and are subject to legal guarantees for mobility under the Act on Promotion of the Transportation Convenience of Mobility Disadvantaged Persons, and the Act on the Prohibition of Discrimination Against Disabled Persons, Remedy Against Infringement of Their Rights, etc.’

The 'Research Group for Social Issues of Vulnerable Classes' of the Center for Computational Social Science compared and analyzed the movement characteristics of disabled and non-disabled persons by analyzing the time and amount of time of movement between the two groups through the movement time data of the disabled and non-disabled.

통계청 데이터로 장애인 이동패턴 파악

본 연구는 시간적 차원에서 장애인의 이동패턴(이동 시간대 및 이동 시간량)을 도출하기 위해 통계청의 ‘2014 생활시간조사’ 중 20세 이상 성인의 데이터를 활용했다. 통계청의 생활시간조사는 국민이 하루 24시간을 어떻게 보내는가를 파악해 이들의 생활방식과 삶의 질을 측정한 기초자료다. 관련 조사는 1999년부터 5년에 한 번씩 실시되고 있다.

2014년 생활시간조사는 7월, 9월, 12월에 각각 진행됐으며 전국 약 1만 2천여 가구의 만 10세 이상 모든 가구원 2만 7천여 명의 개인, 가구 정보 및 이틀 동안의 시간 정보를 수집한 것이다. 시간 정보 수집은 각 응답자가 매 10분 간격으로 이틀 동안 자신이 한 행동을 일기 쓰듯 직접 기재하는 ‘시간일지(time diary)’ 작성을 통해 이뤄졌다. 시간일지는 각각의 응답자가 주로 했던 주행동, 그와 함께 이루어진 동시행동, 주행동이 일어난 장소 및 이동 수단, 주행동을 함께한 사람 정보 등을 함께 기록하는 형태다.

Identifying movement patterns of disabled persons with data from Statistics Korea

This study utilized data of adults 20 years of age or older during the 2014 Time Use Survey of Statistics Korea to obtain the movement patterns (time period and amount of movement) of disabled persons from a time perspective. The Statistics Korea's Time Use Survey is the basic data that measures how persons spend 24 hours per day to quantify their lifestyle and quality of life. The survey has been conducted once every five years since 1999.

The 2014 Time Use Survey was conducted in July, September, and December, respectively, and collected personal and household information and time information over two days of 27,000 persons aged 10 years and over in about 12,000 households nationwide. Time information was collected through the creation of a ‘time diary’ in which each respondent personally recorded their actions as if in a diary every 10 minutes for two days. The time diary is a form of recording the main behaviors of each respondent, simultaneous behaviors, the location and means of transport, and information on the persons who were with them.

실재하는 간극, 이동권 제약에 주목해야

연구팀은 휠체어 장애인의 시 · 공간 이동패턴을 검증했다. 그 결과 비장애인의 이동률은 8:00와 18:30에 정점에 이르지만, 장애인은 10:00와 17:30에 정점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됐다. 주말 역시, 비장애인의 이동률은 8:00부터 꾸준한 증가 추이를 보이나 장애인은 비장애인보다 일찍 시작돼 10:00 이후 급감하는 양상을 보였다. 평일, 주말을 막론하고 이동 시간대에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구분이 확연한 것이다.

이동 시간량 비교에서도 장애인이 비장애인보다 이동 시간량이 적은 것으로 파악됐다. 구체적으로 장애를 가지고 있을 때, 전체 이동 시간량 및 주말, 주중의 이동 시간량 자체가 감소하는 것이다. 특히 주말의 경우 장애인과 비장애인 간 이동 시간량의 격차가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런 연구 결과는 장애인 삶에 대한 사회적 차원의 문제 제기와 함께 장애인 이동성의 정상화(normalization)를 촉진하기 위한 정책적 제언을 함의하고 있다.

Attention to the gaps and restrictions in movement

The research team verified the temporal and spatial movement patterns of disabled persons in wheelchair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mobility rate of non-disabled persons peaked at 08:00 and 18:30, while that of disabled persons peaked at 10:00 and 17:30. Similarly on weekends, the mobility rate of non-disabled persons showed a steady increase from 08:00, but those with disabilities started earlier than non-disabled persons and showed a sharp decline after 10:00. The distinction between the disabled and the nondisabled is clear at the time period of movement, regardless of weekdays and weekends.

In comparison with the amount of movement time, it was found that it was less for disabled persons than non-disabled persons. Specifically, when a person has a disability, the total amount of movement time and that of weekends and weekdays decreases.

It was confirmed that the difference in the amount of movement time between the disabled and the non-disabled was large, particularly on weekend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raise social issues about the live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imply policy suggestions to promote the normalization of mobility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연구진 소개

  • 연구그룹 책임자 : 차재혁 교수(공과대학 컴퓨터소프트웨어학부)
  • 논문책임자 : 이유신 교수(사회과학대학 사회학과)
  • 공동연구원 : 김한성 교수(사회과학대학 사회학과)
  • 공동연구원 : 김광욱 교수(공과대학 컴퓨터소프트웨어학부)

Members of the Research Team

  • Head of the research group Prof. Cha Jae-hyuk (Department of Computer Software, College of Engineering, Director of C2S2)
  • Thesis supervisor Prof. Lee Yu-shin (Department of Sociology, College of Social Sciences)
  • Co-researcher Prof. Kim Hansung (Department of Sociology at the College of Social Sciences)
  • Co-researcher Prof. Kim Gwang-wook (Department of Computer Software, College of Engineering)